미국주식 하시는 분들이 꼭 아셔야 하는 정보입니다. 바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준비해야 할 때인데요. 올해 투자로 250만 원 이상의 이익을 보셨다면,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. 어디서 어떻게, 그리고 얼마를 내야 하는지, 똑똑한 절세 방법까지 얻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
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 특히, 손실 종목 활용과 증여를 통한 절세 방법까지 있으니 꼼꼼하게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.
먼저 미국세금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들이 궁금하시다면?
▼다음의 글을 읽어보시면 도움이됩니다
미국주식 세금 총정리: 배당금 세금, etf 세금, 양도소득세, 종합소득세
1.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
미국 주식 투자로 발생한 양도소득은 22%의 세율로 과세됩니다. 그러나 모든 이익에 대해 세금을 내는 것은 아니며, 공제 및 손익통산 등을 통해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즉 매도한 이득에 대한 세금이며 매도하지 않은 보유종목에 대한 세금은 아닙니다.
▼양도소득세 계산 공식
과세표준 = (총 매도금액 - 총 매수금액 - 거래비용) - 손익통산 - 기본공제(250만 원) 양도소득세 = 과세표준 × 22%
계산 예시
- 올해 순이익: 1,800만 원
- 공제 한도: 250만 원
- 과세표준: 1,800만 원 - 250만 원 = 1,550만 원
- 세금: 1,550만 원 × 22% = 341만 원
이렇게 계산이 되면 내야 할 양도소득세는 341만 원입니다.
저의 올해 순익합산으로 계산해 보자면,
2024년도 미국주식 순이익 : 17,678,035
: 17,678,035 - 2,500,000 = 15,178,035
: 15,178,035 × 22% = 3,339,167.7
즉 올해 양도소득세는 3,339,167.7입니다.
미국주식 양도세 절세 꿀팁
꿀팁 1. 손실 종목 활용하기
현재 손실이 난 종목이 있다면, 이를 매도하여 이익과 손실을 상계하는 손익통산을 활용하세요.
예를 들어, 제가 보유 중인 TSLY 종목이 -30% 손실을 기록해 500만 원 손실이 발생했다고 가정해 볼게요.
손익통산 후 세금 계산
1,800만 원(이익) - 500만 원(손실) = 1,300만 원 1,300만 원 - 250만 원(공제) = 1,050만 원 1,050만 원 × 22% = 231만 원
손실 종목을 매도해 손익통산을 활용하면 세금을 약 110만 원 절약할 수 있습니다. 이처럼 손실 종목은 단순한 "손해"가 아니라 절세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꿀팁 2: 매도 시점 분산하기
미국 주식 양도소득세는 연도별로 계산됩니다.
연말에 일부 종목을 매도하고, 나머지는 내년 초로 매도 시점을 분산하면 두 해에 걸쳐 공제 한도를 각각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예시
- 올해 매도 이익: 1,000만 원
- 내년 초 매도 이익: 800만 원
이렇게 분산 매도 계획으로 세금을 좀 더 줄일 수 있겠습니다.
꿀팁 3: 환율 변동 관리
미국 주식 매도 시 환율도 중요한 절세 요인입니다.
매수와 매도 시점의 환율 차이에 따라 이익이 원화로 환산되는데, 환율이 높을 때 매도하면 환차익이 발생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.
외화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환율이 안정될 때 환전을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꿀팁 4: 가족 간 증여 활용하기
주식 증여는 절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.
주식을 가족에게 증여하면, 증여받은 사람이 새로운 취득가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게 됩니다.
또한, 증여세 공제 한도를 잘 활용하면 증여세 부담 없이 자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.
미국주식 배우자 증여 공제 한도는?
- 배우자: 6억 원까지 비과세
- 자녀: 5,000만 원까지 비과세
- 미성년 자녀: 2,000만 원까지 비과세
증여세 계산법
증여세는 증여받은 주식의 평가 금액(증여일 전후 2개월 평균 주가)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예를 들어, 자녀에게 4,000만 원 상당의 주식을 증여하면 공제 한도(5,000만 원) 이내이므로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.
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
미국 주식 양도소득세는 자동으로 부과되지 않으므로 직접 신고를 해야 합니다.
신고 시기
-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진행
- 증권사 거래내역서(매수/매도 내역, 환율 적용 내역 포함) 필요
- 손익계산서(증권사 제공 가능) 필요
미국 주식 절세 FAQ
Q1. 손익통산은 연도별로만 가능한가요?
A: 네, 손익통산은 동일 연도 내에서만 가능합니다. 따라서 연말에 손실 종목 매도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.
Q2. 증여 시 새로 매도하면 세금이 줄어드나요?
A: 네, 증여받은 사람이 주식을 매도하면 새로운 취득가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합니다. 이는 세금 절감에 큰 도움이 됩니다.
Q3. 양도소득세 미신고 시 어떻게 되나요?
A: 미신고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5월에 신고하시길 권장합니다.
이상으로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신고와 절세방법 꿀팁까지 알아보았는데요. 양도소득세 비율과 계산법 등을 알아두시면 미리 양도소득세를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. 미국주식을 하시는 분들은 한국주식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아 꽤나 좋은 수익을 보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. 저역시도 올해 처음으로 양도소득세라는 것을 내보게 되는데요. ㅎㅎㅎㅎ 당연히 내야 하는 세금이지만 왜인지 아까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. 본인만의 절세 전략을 잘 세우셔서 현명한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🔽이 블로그의 다른 글도 읽어보세요
TQQQ 장기투자 주가 종목구성 및 특징 투자방법 쉽게 알아보기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TY 12월 배당금, 배당락일, 배당지급일 (2024년도 총정리) (0) | 2024.12.12 |
---|---|
tsll 테슬라 레버리지 주가, 배당금, 구성종목, 장단점 (2024년도 총정리) (0) | 2024.12.12 |
미국주식 세금 총정리: 배당금 세금, etf 세금, 양도소득세, 종합소득세 (0) | 2024.12.08 |
CONY 12월 배당락, 배당일, 배당금, 2024년도 한해 총정리 (0) | 2024.12.08 |
TSLY 12월 배당금, 배당일, 배당락일, 12월 배당금 두번과 2024년 결산💡 (1) | 2024.12.05 |
댓글